https://www.youtube.com/watch?v=Jw-aVm3JIAA
Lockdown때문에, 전 세계의 대다수의 국가들에서 감염이 발생하고 있습니다. 실제로 '가구'내에서 말이죠,
In most parts of the world, due to lockdown, most of the transmission that's actually happening, in many countries now, is happening in the household at family level.
어느정도론, 거리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감염이 가구 내로 미뤄진거죠.
In some sense, the transmission has been taken off the streets and pushed back into family units.
이제 가족에게 눈을 돌려서 병의 증세가 있는 사람들을 찾아내 따로 빼네어 예의을 차린 방식으로 격리시켜야하죠.
Now we need to go and look in families to find those people who may be sick and remvoe them and isolate them in a safe and dignified manner.
들으신 바대로, 우리는 여러분의 자택으로 가서 아이들을 붙잡아 안전하고 위엄있는 방식으로 아이들을 격리시킬겁니다. 이게 무슨 의미인지는 모르겠지만요.
Just so you know, we're coming to your house, seizing your children and (quote) "isolating them in a safe and dignified manner", whatever that means.
+ seizing : ˈsē-ziŋ (씨-징)
정상적인 상황에서 공인인 사람이 일반적으로 던질만한 브리핑이 아니죠. 폭력적인 상황을 야기할지도 모르는 성명인거죠. 당신이 다른 사람들의 아이를 데려가면 사람들은 좋게 반응하지 않죠.
Now, that's not something, under normal circumstances, officials casually drop during breifing.
It's the kind of statement that might trigger violence - people don't respond well when you threaten to take their kids.
하지만 라이언은 별 일 아니라듯이 얘기했고, 그게 미디어가 다뤄지는 방식인거죠 언론에서도 똑같이 반응이 없었습니다. 이런 소식이 뉴스나 그 어디의 헤드라인에도 나오지 않았고, 지금 국가는 이 정도 상황까지 온겁니다.
But Ryan said it like it was no big deal and that's how the media treated it.
His treat didn't make headlines in any of the major newspapers in this country. That's the kind of moment we're in.
그렇다면 얼마나 이 상황이 지속될까요? 금요일, LA 시장 Eric Garcett는 처음으로, Lockdown의 첫 번째가 6월까지 연장된 것을 예상했습니다.
So how long will this moment last? Well, on Friday, Eric Garcetti, the Mayor of Los Angeles, predicted that the first in a series of lockdowns will go on until June.
처음에 몇몇 사람들은 이 사태가 몇일이나 몇 주 정도 갈지 물었죠. 거라고 말했죠. 하지만 저는 그렇게 생각하지 않습니다. 최소한 2개월이죠. 이 상황에서 연속적으로, 성공적으로 대처할지라도, 두 번째 강타가 가을이나 겨울쯤 올겁니다. 그게 바로 바이러스가 돌아가는 원리니까요.
Early on when people said "Is this just going to be a few days or a coupld (of) weeks?", I said, "No. I think it's at least 2 months." And I said "If we're successful in this, we can expect a second spike in the late Fall or early Winter.
That's how viruses work."
우리는 어쩌면 2차, 3차전까지 준비를 해야할지도 모릅니다. 뿐만 아니라 우리가 경제를 한번에 뒤짚을 수 있는 스위치를 가지고 있지 않다는 것을 아는 민첩한 자세도 취해야 하죠.
We'd better steal ourselves for a second and maybe even thrid round of this but we also need to be nimble enough to know we're not going to flip a switch one day and turn the economy back on.
+ would better V : ~하는게 낫겠다
+ steel oneself for sth : sth을 대비하기 위해 마음 단단히 먹다.
2차, 어쩌면 3차 lockdown이 발생한지도 모른다는 인용구는, 참으로 길게 느껴지네요.
하버드 대학교의 경제학자이자 오바마 전대통령의 경제보좌관이었던 jason Furman은 지금 상황이 붕괴가 생각보다 더 심각할지도 모른다는 것을 예측했습니다.
A quote, "second and maybe even third round of lockdowns". That's a long time.
Former Obama official Jason Furman who is now an economist at Harvard predicts the disruption may be even more severe than that.
또다른 인용구가 있습니다. 우리는 남은 해 동안 상당 수준의 경제적 억압에 대해 준비해야한다는 말입니다.
Quote, "We should certainly be prepared for a meaningful level of deliberate suppresion(suspension) of economic activity for the rest of the year."
+ suspension : 연기, 보류
이 모든 것들에 대해 그럴만한 이유가 있으면 다는걸 알면 좋겠는데요, 실제로 모두가 진지하게 바라고 있습니다을겁니다.
Well, it would be nice to know that there is a good reason for all of this and, of course, everyone wants there to be a good reason sincerely.
전국적인 봉쇄를 연장한다는 논쟁이 꽤나 억지스럽게 들리기 시작합니다. 최근 한 Medium에서 의견이 많았던 한 기사에서, 피츠버그 출신의 두 교수가 주장하기를, 봉쇄를 아예 해제해서는 안되며, 몇개월이 지난 후에도 해제하는 것은 실수일 것이라고 합니다.
Yet, the arguments for a prolonged national lockdown are starting to sound strained.
In a much discussed article in Medium recently, two academics from Pittsburgh argued that lifting the lockdown at all, even many months from now, would be negligent.
+ strain : 부담, 중압, 무리를 주다
+ negligent 등한한 (태만한, 부주의한)
인구의 상당수가 감염되지 않은 상태인 이상, 격리조치를 해제하는 것은 애초에 통제를 전혀 하지 않았을 경우만큼 크게 확산될 것이다. 라는 인용이 있습니다.
Quote, As long as a large majority of the population remains uninfected, lifting containment measures will lead to an epidemic almost as large as would happen without having mitigations in place at all
+ containment : 방지(억제), 견제 <-> contamiation : 오염, 더러움
+ mitigation : 완화
+ in place : 애초에 (prepared and ready)
읽어보면 어째 그럴싸한데요, 과학적인 사실처럼 들리죠. 하지만 정말 과학적인 사실일까요?
Well, that sounds plausible when you read it. In fact, it sounds like science. But is it science?
인구의 대다수가 감염되지 않은 상태,라고 말했었죠. 근데 이게 사실일까요? 우린 사실이라는걸 모릅니다. 실제로 미국에서 몇 퍼센트나 되는 사람들이 감염된건지, 감염됐는지 아무도 모릅니다.
A large majority of the population remains uninfected...", they say. But is that true? We don't know it's true. As of today, nobody can say what percentage of the American population is infected or has been infected.
계산하는 방식에 달려있으나, 지금은 우리들 가운데에 최대 4개월까지 바이러스가 돌아다니고 있습니다. 그 대부분의 시간 동안 인구를 경리시킬만한 체계적인 시도도 없었죠.
Depending on how you count, the virus has been circulating among us for up to 4 months now. For most of that, there was no systematic attempt to quarantine the population.
그 기간동안 얼마나 많은 미국인들이 감염된걸까요? 그에 대한 대략적인 예상 숫자도 없네요. 하지만 그 숫자는 정말 클지도 모릅니다. 그 바이러스는 생각했던 것 보다 전이되기 쉬운걸로 나타났기 때문이죠.
How many Americans were infected over that period? Again, we don't even have a ballpark number for that. But the number could be enormous because the virus turns out to be much easier to transmit than we thought it was.
+ ballpark : 대략적인 숫자
이제 과학자들은 코로나 바이러스가 증상이 없는 사람이 단지 말을 나누는걸로 감염시킬 수 있다는 것을 믿습니다.
Scientists now believe that the Coronavirus can be transmitted by someone who shows no symptoms merely by speaking.
손 씻기가 안전하게 지내기 위한 핵심 포인트라고 말했던 것, 기억하시나요? 그 권고사항은 바이러스가 피부의 표면에 머무른다는 말에 기반을 둔건데, 그건 사실이 아닙니다.
Remember when they told you that hand-washing was the key to staying safe?
That recommendation was based on the virus lived mostly on surfaces and that's not the case.
우린 아직 어떻게 바이러스가 퍼지는지 정확히는 모릅니다.
하지만 일부 인구 가운데에, 알게되어 흥미로운 사실입니다만, 놀라우리만큼 널리 감염된 것으로 보입니다.
We're still not exactyly sure how the virus is spread but among some populations, and this is interesting to know, it appears to be astonishingly wide-spread.
예를 들어, 지난 주 목요일 이탈리아의 한 매체에서, 룸바르디아라는 마을에서 헌혈 캠페인이 있었는데, 이탈리아에서 가장 감염자가 많은 북쪽 지역입니다.
An article in the italian media last Thursday, for example, described a blood drive in a village in Lombardy.
That's the northern part, the most infected part of the country.
+ blood drive : 헌혈 캠페인
헌혈을 하려고 나타난 60명의 사람들 중, 40명이 코로나 바이러스의 테스트에서 양성을 보였습니다. 그들 중 누구도 코로나 바이러스의 증상을 보이지 않았고 본인들이 바이러스에 걸린지도 모르고 있었죠.
Of the 60 people who showed up to give blood, 40 tested positive for Coronavirus.
None had shown symptoms of it, none knew they had it.
Lombardy가 정부에 의해 3월 9일부터 정부의 지도하에 엄격한 봉쇄가 진행됐다는 걸 명심하세요. 거의 한달전부터 입니다. 하지만 이 마을의 70%가 어찌된 일인지 코로나 바이러스에 감염되었죠.
Keep in mind that Lombardy has been strictly locked down by government order since March 9th.
That's almost a month ago. Yet, about 70% of this group got it anyway.
코로나바이러스는 우리가 예상했고 들었던 것보다 훨씬 전이가 쉬운것으로 보이고 있습니다. 보입니다. 좋은 점은 전체적으로 (사망률에서) 덜 치명적이라는 점입니다. 많은 사람들이 (코로나 바이러스로) 사망하고 있지만, 그들 중 대다수가 나이가 많거나 병들었던 사람들은 아니라는 점이 지켜보기 끔찍하게끔 만들죠.
So it's starting to look like the Coronavirus is more transmissible than we expected or were told.
The good news is it also seems far less lethal overall. People are still dying in large numbers, not all of them are sick or old and that's terrifying to watch.
+ overall : 형/부 둘다 존재 (종합적인, 전체의, 대체로)
+ lethal : (죽음을 초래하거나 돌이킬 수 없을정도로) 치명적인
아이슬란드는 그 어느 국가보다도 많이 자국민의 대다수에게 바이러스 검사를 실시했습니다. 전체 국민의 5%정도를 검사했죠. 미국은 그와 비교했을때 0.3%정도로 검사를 실시했습니다.
Iceland has tested a larger percentage of its population than any country in the world. They've tested about 5% of all citizens. The United States by comparison has tested 0.3%.
지금까지 양성반응을 보인 아이슬란드인의 절반은 무증상 감염이었습니다.
So far about half of those who've tested positive in Iceland have been completely asymptomatic.
그렇다면 이 모든것을 고려했을 때, 전염병에 대처하는 현명한 대응책은 무엇일까요?
So given all of this, what is a wise response to this pandemic?
우리는 대상자들을 선정하여 격리하는 것이 효과가 있다는 것을 잘 알고 있습니다. 전 세계적으로 수 세기동안 이용되어온 방법이죠. 하지만 그 방식은 우리가 지금 쓰는 방식이 아니죠. 대신에 미국과 다른 국가들은 거대한 격리를 설립했으며, 이는 오랜 기간동안 국가 전체를 차단하는 것이죠. 이건 전례없는 일입니다.
We have a pretty good idea that targeted quarantines work. They've been used for centuries around the world.
But that's not what we did. Instead, the United States and many other countries instituted mass quarantines, in which governments shut down entire nations for long periods. That has never happened before.
국가차원의 거대한 격리가 바이러스의 전이를 아마 중단할 수 있으리라 상상할 수 있습니다. 그게 정말로 사람들을 격리시킨다면 효능이 있을지도 모르죠. 시민들이 정말로 집에만 있도록 강요받고, 사람들끼리 어떤 상호작용도 없다면 말입니다.
Now it's possible to imagine that a mass quarantine might stop transmission of a virus. It might work if it acaully separated people, if citizens were forced to stay in their homes and not have any interaction with other people.
하지만 미국에서는 그러고 있지 않습니다. 여기선 절대 그러지 않을겁니다. 너무 많은 미국인들이 혼자 살고 있죠. 사람들이 굶어죽을겁니다.
But we've not doing that in the United States. We never will do that here. Too many Americans live alone for one thing. Poeple would starve to death.
+ live[ˈliv] VS leave[ˈlēv]
+ for one thing : 우선 한 가지지 이유는
-> 어떤 이유를 대거나 문제를 지적할 때 "일단은 (이런저런 것)이 있다" 식으로 자주 사용됨.
우리가 지금 따르고 있는 지시책은 바로 이겁니다. 식료품 살 때 빼고는 집에 있으세요. 여러분이 갈 수 있는 곳은 딱 하나, 슈퍼마켓인데 여기긴 여러분들의 이웃 주민들이 이번 주에 모두 들렸던 곳이지요.
Instead, the directive we're living under is this- Stay home except to buy food. The one place you can go is the supermarket where, by the way, everyone else in your neighborhood has been this week.
+ directive : (공격적인)지시, 지시사항
전염병학의 관점에서 보자면, 이건 미친짓입니다. 만약 인구 전체를 감염시키고 싶으면, 사람들을 특정 장소에 모이도록 만들어 밀폐된 장소에서 정기적으로 만남을 갖게 하겠죠. 말이 안됩니다.
From an epidemiological standpoint, this is lunacy. If you wanted to infect an entire population, you'd encourage everyone in a specific zip code to meet regularly in one enclosed location, It doesn't make sense.
+ epidemiology : 역학, 전염병학
+ epidemiological : 역학의, 전염병학의
+ lunacy : 바보짓, 미친짓
전문가들도 그게 명백히 말이 안된다는 것을 알고있습니다. 하지만 과정을 바꾸거나 미세하게 무엇이건 바꾸는 것 대신에, 격렬함이 안좋은 과학을 보상해줄거라고 믿으며 더욱 강하게 밀고나가고 있습니다.
Authorities must know it doesn't make sense. That's obvious. But instead of changing course of fine-tuning, they're double down, hoping that vehemence will compensate for bad sciecnce.
+ fine tuning : 미세조정
+ double down : 몰두하다, 끈질기게하다, ~를 늘리다
+ vehement : 격렬한, 맹렬한 (=forceful)
+ vehemence : 격렬함, 맹렬함 (=violence)
+ compensate for : 보상하다
만약 반복적으로 Safer-at-home-order 명령을 반복적으로 침해하는 사람을 목격하신다면, coronavirus.lacity.org/business violation으로 지속적으로 신고해주세요. 밀고자에 대한 옛말들 아시죠. 하지만 이 경우엔 밀고자는 보상을 받습니다.
If you've observed recurring violations of the 'Safer-At-Home-order', please continue to let us know at coronavirus.lacity.org/businessviolation You know the old expression about snitches. Well, in this case, snitches get rewards.
+ snitch : 일러바치다, 고자질하다, 밀고자
그러니까, 지금 여러러분들은 국내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의 시장이, 다른 것과 더불어 감히 일하러 나가려는 이웃들을 고발하는 시민들에게 돈을 주겠다고 말하고 있는걸 보고있습니다. 일하는건 현재 허락되지 않은 행동들 중 하나입니다. 조깅, 낚시, 골프, 다 좋아요!
So, you just saw the mayor of our second biggest city offering to pay citizens to snitch on their neighbors for, among other things, daring to go to work. Working is one acticity we've decided should not be allowed. Jogging, fishing, golf... FINE!
+ snitch on A for B : A가 B한것에 대해 밀고하다.
고용을 유지하는거요? 공중 보건에 아주 큰 위협이랍니다. 우리는 어쩐지 직장이 수퍼마켓보다 위험한것으로 결정지었네요. 훨씬 더 위험한 곳이라고요, 비록 오늘까지, 그 누구도 어떻게 그리 결정된건지는 설명하지 않네요.
Being employed? A massive threat to public health. We've decided that offices are somehow more dangerous than supermarkets. Far more dangerous, though no one has, to date, bothered to explain how.
+ bother : 신경쓰다, 애를 쓰다, 괴롭히다
이에 대한 결과요? 어떤 추정에 의하면, 1700만명의 미국인들이 현재 실업자라고 합니다. 미국 역사상 가장 높은 실업률입니다. 지금 부터 일 년 뒤를 우리는 생각해봐야 합니다. 우리 모두가, 전엽병을 마주하여 결정내린 사항에 대해 어떻게 느낄지를 말이죠.
The resulr of this? By some estimates, more than 17 million Americans are unemployed right now. That's the hightest number in the history of this country. A year from now, we should think aboud this, how will all of us feel about the decisions we've made in the face of this pandemic?
정말로 코로나 바이러스에 대응하는 우리의 방식보다 코로나 바이러스 그 자체가 결국은 더 위험하다는 사실을 진지하게 예측하는 사람이 단 한명이라도 있기라도 할까요? 아무래도 아닌 듯 하네요.
Is there a single person wgo sincerely expects the Coronavirus itself will hurt more people in the end that the damage we're causing in our response to it? Probably not.
대량의 해고는 코로나 바이러스보다도 신체적인 고통을 포함하여 평균적인 가족들에게 훨씬 더 큰 피해를 초래할 것이 분명합니다.
Mass unemployment is almost certain to cause far more harm, including physical harm to the average family that this disease.
1967년, 두 (심리학)정신의학 연구원들이 인생의 트라우마 사건들이 얼마나 사람들의 건강에 깊게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순위를 매겨보는 실험을 했습니다. 스트레스는 우리도 알다 싶이 사람을 죽일 수 있습니다. 그리고 그들은 어떤 종료의 스트레스가 가장 위험한지를 결정하고 싶었습니다.
In 1967, two psychiatric researchers decided to rank traumatic life events in order of how profoundly they affected people's health. Stress can kill you, we know that. And they wanted to determine which kind of stress were the most dangerous.
+ psychiatric : 정신의학의
+ In order to V == In order of N / 구 / 절
그리고 의사들은 건강을 저하시키는 트라우마 중 실업이 가낭 높은 순위를 차지하고 있다는 것을 밝혀냈습니다. 실직은 친한 친구의 죽음보다도 어느 관점에서는 훨씬 더 높은 등급으로 들어왔습니다. 특히 부양할 사람이 있는 처지에서 실직인 상태를 겪었다면, 이를 잘 이해하겠죠.
The doctors found that losing a job ranked high on the list of health degrading traumas. Joblessness came in well above definitely 'death of a close friend' to put it into some perspective. If you've ever found yourself unemployed with dependents to take care of you, you understand this.
+ degrade : 비하하다(upgrade반의어), 분해하다, (질적으로)저하시키다
+ dependent : 의지하는, 의존하는 (미국권) Dependence(N)ㅁ
+ to put it(that/this) into perspective : 어느 정도 수준이냐면. 즉, 앞서 한 이야기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비교가 될 만한 내용을 언급함으로써 듣는 사람으로 하여금 그 정도에 대한 감을 잡는 것을 도와줌
+ come in <순위> : rank
+ if you've ever found yourself ... : If you've ever been(experienced)와 해석은 같지만, 느낌이 다륻. (본의 아니게 어떤 것을 겪어봤다면을 강조함)
지금까지, 10000명의 미국인들이 우한 코로나 바이러스로 사망했습니다. 그 숫자는 증가하고 있고, 여러분이 아는 사람들도 그 숫자에 포함될 수 있습니다. 비극인 셈이죠. 하지만 이 국가에서 진행되고 있는 비극은 그 뿐만이 아닙니다.
So far, avout 10 thousand Americans have died from the Wuhan Coronavirus. That number will rise and it will likely include people you know. That's a tragedy. But it's not the only tragedy in progess in this country.
2018년, 67000명 이상이 약물 중독으로 사망했습니다. 그 전년도에는 70000명 이상이 사망했죠. 약물 전염병은 영구적으로 이 나라의 민주주의 인구학적 특성를 변화시켰습니다. 하지만 어떤 이유인지, CNN은 더 이상 약물 중독의 사망자에 대한 기록을 말하지 않고 있습니다. 왜 그럴까요?
In 2018, more than 67 thousand Americans died of drug overdoses. The year before, more than 70 thousand died. The drug epidemic has peranently changed the demographics of this country but, for some reason, CNN has not kept a running tally of drug casulaties on the screen. Why is that?
+ casualty : 사망자 수[ ˈka-zhəl-tē]
+ demographics : 인구학의, 인구통계학의
글쎄요, 왜 인지 알겁니다. 같은 동료 집단이 아니니까요. 진짜가 아닌겁니다. 그들은 그다지 별로 관심이 없는거예요. 그리고 같은 일이 지금도 일어나고 있는 겁니다. 만약 코로나 바이러스로 인한 봉쇄가 대학교 관리자들이나, 비영리 재단 간부들, 그린 에너지 로비스트들에게 피해를 끼쳤다면, 지난 주에 끝났을 겁니다.
Well, you know why. It's not their peer group. It doesn't seem real. They're not that interested. And the same thing is going on now. If the Coronavirus shutdown was crushing college administrators or non-profit executives or green energy lobbyists, it would've ended last week.
+ crush : 으스러뜨리다
+ lobbyist [ˈlä-bē-ist 로비어스트] : 의안 통과 운동자(진정자)
대신 피해를 받는 사람들은 주로 서비스 계열 노동자들과 소상공인들이며, 그들이 겪고 있는 일들은 TV에서 말하지 않죠. 그들의 고통을 잘 들여봐야합니다. 보려면 자세히 들여다봐야 합니다.
Instead, it's mainly service workers and small business owners who have been gurt and they're not on television talking about what they're going through. You need to look closely to see their suffering.
이제 전체 인구를 신경써야 할 때가 왔습니다. 건강한 사람들도 많이 고통을 받고 있죠.
It's time to start caring about the entire population. Healthy people are suffering badly too.
+ badly : 나쁘게 말고도 몹시 라는 뜻도 있다 (어떤 의미든 부정적임)
'🔑 English > Etc (ex : Youtube, movie, drama)' 카테고리의 다른 글
Emily in Paris - 3화 (0) | 2021.02.12 |
---|---|
Emily in Paris - 2화 (0) | 2020.11.22 |
The growing trend towards ghost kitchens and dark stores (0) | 2020.10.30 |
Emily in Paris - 1화 (0) | 2020.10.12 |
The interview with Bill Gates (0) | 2020.04.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