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corator Pattern 이란 기존 뼈대(Class)는 유지하되, 이후 필요한 형태로 꾸밀 때 사용한다. 즉, 객체에 추가적인 요건을 동적으로 첨가한다. SOLID중에서 개방폐쇄 원칙(OCP)과 역전 원칙(DIP)을 따른다. 쉽게 예시를 들면, 에스프레소 원액 (기존 뼈대 = Class)에 물을 첨가하면 아메리카노가 된다. 또는 우유와 시럽을 첨가하면 카페 라떼가 된다. 이와같이 기존 뼈대는 유지하되, 필요한 형태로 꾸밀때 상요하는 패턴이 Decoratr Pattern이다. 예시 자동차를 예시로 들어보자. ICar라는 인터페이스를 정의하고, 이를 구현하는 Audi 클래스를 두고, 이로 인해 audi라는 객체가 생성됐다고 가정하자. 그런데 만약 런타임 단계에서 audi의 특징을 그대로 두고 업그레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