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st 3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 구축] 5. MSA 마이크로서비스 통신 구현 (1)

해당 글은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 구축에서 학습한 내용을 다룹니다.목차MSA 서비스간 통신 종류원격 프로시저 호출 RESTGraphQL메시지 브로커중단 변경 관리하기락스텝 배포 (lockstep deployment)호환도지지 않는 마이크로서비스 버전의 공존기존 인터페이스 에뮬레이션무엇이 최선일까?극단적 조치1-1. MSA 서비스간 통신 종류 - 원격 프로시저 호출 (Remote Procedure Call)로컬 호출을 통해 어딘가에 있는 원격 서비스를 실행(RPC)하는 기술을 말한다.일반적으로 RPC 기술은 직렬화 프로토콜에 투자한다는 의미이며, RPC 프레임워크는 데이터가 직렬화 되거나 역직렬화 되는 방법을 정의한다.대표적으로 gRPC가 있으므로 이를 중점으로 설명한다.gRPC는 프로토콜 버퍼 (아래 코..

Monolithic, SOA, 그리고 MSA

[총괄 개념 정리] 핵심 정리 사이트 [세부 개념 정리] SOA와 MSA (1) SOA와 MSA (2) [함께 알면 좋은 개념] EAI, ESB, API 게이트 웨이,서비스 매쉬 [SOA와 MSA의 개념 요약] MSA and SOA comprison(Written in English) Microservices Architecture (MSA) Service-Oriented Architecture (SOA) Protocol 가벼운 프로토콜 사용 (ex : HTTP, REST) 멀티 메세지 프로토콜 지원 Focus 탈동조화 = Decoupling (작동에 있어서 서비스와 서비스의 상관관계를 최소화) 어플리케이션 서비스의 재사용성 Approach 가능한 최소한으로 공유하는 아키텍쳐 접근법 가능한 최대한으로 공..

REST, RESTful, 그리고 RESTful API

REST란? 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 : 자원의 상태 전달이며, 일종의 네트워크 아키텍처다. 일반적으로 아래에서 언급되는 6가지의 아키텍처를 잘 지켰느냐에 따라 Restful하다, REST API라고 말한다. RESTful API 설계를 위한 6개의 핵심 아키텍처 Client - Server - Client와 Server가 서로 분리되어야 하며, 서로 독립적으로 개발되어야한다. - 자원이 있는 쪽을 Server라 칭하며, 자원을 요청하는 쪽이 Client가 된다. - REST서버는 API를 제공하고 클라이언트는 사용자 인증에 관련된 일들을 직접 관리한다. Stateless - 요청에 대해서 클라이언트의 상태를 서버에 저장하지 않는다. - REST API는 Statel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