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Unit과 단위테스트 SpringBoot에서 JUnit를 사용하여 테스트 코드를 작성할때, 대표적으로 @SpringBootTest와 @WebMvcTest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처음에는 둘의 차이를 간단하게 @SpringBootTest는 모든 빈을 가져와서 속도가 느리고 @WebMvcTest는 필요한 빈만 가져와서 속도가 빠르다 정도로 이해를 했지만, 정확히 개념을 이해하지 못하고 사용한 탓에 테스트 케이스 작성 실패를 겪은적이 있었다. 내가 쓴 테스트 케이스가 어떤 상황에서, 무엇을 목적으로 돌아가는 테스트 케이스인지를 보다 정확히 이해하기 위해 개념을 정리한다. @SpringBootTest + @AutoConfigureMockMvc 1) 특징 - 프로젝트 내부에 있는 스프링 빈을 모두 등록하여 테..